해커는 오래전부터 심리학에 관심이 많아서 관련서적들을 많이 봐왔습니다.

그중에 가위눌림이나 몽유병을 과학적으로 분석해보려는 하나의 학설이 생각나서 적어볼까 합니다.

검증된 논리는 아니고 하나의 학설임을 다시 한번 밝힙니다.

이들 심리학자들이 세운 가설은 인간의 뇌의 기능이상으로 제대로 자신의 신체를 제어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인간은 진화하면서 잠을 자고 있을때에는 몸을 움직이지 못하게 진화하였을것이라고 얘기합니다.

그 이유로 그렇지 않았을 경우에 인간의 생존과 진화에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을것이라고 합니다.

현대사회에서야 그렇지 않지만 예전에 유인원과 비슷한 생활을 햇던 아직 다 진화하지 못한 태초의 인간들이 생활하던 곳은 4면이 벽으로 막혀있는 방도 아니었고 포근한 침대도 없었습니다.

그냥 맨바닥에 짐승의 털가죽을 깔고 자거나 산속이나 동굴등..

눈을 감고 몇발자국만 걸어도 넘어저 다치거나 떨어저 죽을수도 있는 환경이었습니다.

이처럼 잠을 자는 동안에는 몸을 움직이지 않도록 진화를 해야지만 현재의 인간까지 진화를 해 올수 있었다는 가정입니다.

이들은 이 가설에 그치지 않고 실험을 한가지 했습니다.

고양이를 가지고 실험을 하였는데요..

고양이 뇌의 "뇌교망상조직" 이라는 일정 부분을 바늘로 찔러서 일부러 파괴시켰습니다.

그러한 고양이들은 잠이 들었을때에도 일어나 걷는행동을 보였다는 것입니다.

이들의 가설은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처럼 약간은 믿음이 가지 않을수도 있습니다만...

그들의 실험결과는 그 가설이 충분히 믿을 만 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뇌가 정상적으로 기능할때는 몽유병이나 가위눌림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뇌교망상조직에 기능이상이 있을경우에는 그러한 현상들을 겪게된다는게 그들의 의견입니다.

주위에 물어보면 친구들중 몇몇은 어릴적에 몽유병을 앓은적이 있을것입니다.

14세 이전의 아동중에 15퍼센트정도가 몽유병 증세를 보이다 나이가 듦에 따라자동치유가 된다고 합니다.

해커의 친 형님도 어릴적 몽유병으로 가끔 식구들을 놀래키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몽유병은 뇌교망상조직의 기능이상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몽유병 환자들은 자신이 눈을 감고 바깥을 활보하고 다닌것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근데 가위눌림현상은 생생하게 기억을 한다는 점에서 이들의 가설로는 해석이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가위눌림 현상은 아래게시물의 리라짱님 의견처럼 수면장애로 이해하면 될까요?

그러기에는 약간은 부족한듯 합니다.

쉬운예로 가위눌림에 시달리던 사람이 신경정신과에서 수면치료를 받아도 차도가 없었는데

무속인이나 최면술사에게 심령치료를 받고 난 이후에 가위눌림에서 해방됐다는 얘기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습니다.

과연 가위눌림은 어떻게 외 일어나는 것일까요?

정말 귀신의 장난일까요?

정말로 궁금하시다면 지금 여러분 뒤에 서있는 그 귀신에게 물어보세요.. 흐흐흐 ^^

Posted by 리카온
BLOG main image
by 리카온

달력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
Today : Yesterday :